상단영역

본문영역

미래 농업 주체, 청년농민을 위하여1

미래 농업 주체, 청년농민을 위하여1

  • 기자명 여주신문
  • 입력 2019.03.11 09:08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업의 미래, 청년농민 육성

김주철 (사)여주시친환경농업인연합회사무국장

농촌이 사멸해가고 있다. 2017년 통계청 기준 농가인구는 전체 인구의 4.7%로 242만 명이다. 경기도 농가인구 비율은 전국 평균에도 미치지 못하는 2.5%로 33만 명이다. 농민의 수는 농가인구의 70%라고 해도 150만 명 정도일 것으로 추산된다. 농민 150만 명 65세 이상 노령인구는 100만 명에 달한다. 노령화는 사회 전체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농촌지역의 노령화는 더욱 심각하다. 이 추세는 이미 고착화 구조화 된 지 오래고 상황이 반전될 가능성은 보이지 않는다. 우리가 사는 마을만 보아도 쉽게 알 수 있다. 65세 이하 농민은 5명 내외인 마을이 대부분이다. 40대 이하 농민들은 찾아보기 힘들 정도이다. 농업의 다음 세대가 없다는 것은 현재 우리 농업이 처한 가장 중대한 문제이다.

미래 농업 세대에 대한 그간의 농업정책은 실패했고, 전면적인 재검토와 종합적인 대책이 시급하다. 여주시농업기술센터에서 귀농교육을 진행하고 있고, 한국농어촌공사의 농지 정책의 중심은 청년창업농이고 그들을 우선순위에 두고 있다. 정부에서는 귀농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들어가 보면 아직도 갈 길이 멀다.

귀농의 유형을 나누어보면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 번째 유형은 아주 드물게 부모님이 하던 농사를 이어받는 경우이다. 이들은 여러 조건에서 비교적 안정되게 농업에 적응할 수 있다. 농사의 기반이 일정정도 갖추어진 조건에서 출발하고 핵심 기술을 부모로부터 직접 배우기 때문에 시행착오가 적다. 영농기술과 경영방향, 경제권의 소유 등에 대한 이견으로 부모세대와 갈등을 해소해 가는 것이 문제로 보인다. 그나마 부모님이 하던 농업을 물려받아 지을 후대가 없는 경우가 훨씬 많다. 일부이긴 하지만 가족농업의 세대교체가 이루어지고 있다.

두 번째 아무런 기반 없이 새롭게 시작하는 유형이다. 이들이 가장 많은 어려움에 노출된다. 경험부족과 무리한 욕심으로 실패하는 것을 자주 보게 된다. 정책적 배려와 사회적 관심이 이들에게 집중되어야 하는 이유이다. 농업기술교육 100시간 받게 하고 귀농 계획서를 제출받아 귀농인을 선정을 해주고 정책자금 대출해 주는 것이 전부이다. 그 이후는 각자 알아서 적응해야 한다. 제도적 행정적 뒷받침도 부족하다.

세 번째는 은퇴 귀농 귀촌이다. 주거 기반을 갖추고 있고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농업이 중심이라기보다 농촌에 정주하며 누리는 행복을 찾아 귀촌하는 경우가 많다. 이들 또한 농촌사회의 유지와 공동체의 발전을 위해 관심을 가져야 한다.

귀농인들이 적응하는 과정에서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은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사회적 역할을 높이는 것이다. 농사를 짓는 것만으로 삶의 의미를 부여하기가 힘들다. 농업노동의 특성상 혼자서 할 수 없다. 구성원들간 서로 협력하고 새로움을 창조하고 풍성한 공동체를 위해 노력하는 자세가 중요하다. 농업노동에 고립되고 개별화 되면 살아남기 힘들어진다. 많은 이들이 이 과제를 해결하지 못해 농업을 포기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또 하나는 과도한 고정자산에 대한 투자가 문제이다. 이는 40대 전후의 귀농자들에게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큰 그림을 그리고 뭐든 될 것 같은 마음에 온 재산을 모으고 대출까지 해서 투자를 하지만 현실은 그리 녹녹하지 않다.

귀농 귀촌 과정에서 오류를 최소화 하고 농업농촌에 안착할 방법을 찾아보자. 여주시는 여주농업의 핵심인 이들의 정착을 지원하고, 미래농업의 주체를 세우기 위하여 어떤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하고 시행해야 할 것인가를 알아보자. 미래 농업 주체를 세우는 것은 더 이상 미루어 두어야 할 숙제가 아니라 발등에 떨어진 불이다.

저작권자 © 여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